첫 commit 하기

1. 터미널 실행 후 commit할 디렉토리로 이동

2.

git init
git config user.name "사용자 이름"
git config user.email "사용자 이메일"
git add [파일명]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Local Repository의 내용을 Remote Repository로 보내기

1. Github에서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든다.

2.

만든 레포지토리를 보면 이런 화면을 볼 수 있다.

이미 만든 로컬 레포지토리를 깃허브에 업로드할 것이기 때문에 아래에 있는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터미널(ex.git bash)을 실행하고 알맞은 디렉터리로 이동해준 뒤에, 

커맨드 3줄을 터미널에서 실행해 준다. 

 

Local Repository에서 바뀐 내용을 Remote Repository에도 반영하기

1. 터미널 실행

2.

git add .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 
git push

알맞은 디렉터리로 이동해준 후, 위의 3줄을 차례로 실행해주면 된다. 커밋 메시지 부분에는 변경사항 등의 내용을 담은 커밋 메시지를 자유롭게 입력하면 된다. ex) Create README.md

 

Remote Repository에서 바뀐 내용을 Local Repository에도 반영하기

1. Github에서 원하는 파일의 코드 수정

2.

파일을 수정하고 아래로 내리면 보이는 화면

첫 번째 칸에 커밋 메시지를 입력해 준다.

원한다면 두 번째 칸에 상세한 설명을 쓸 수도 있다.

Commit changes 버튼 클릭

 

3. 로컬 레포지토리도 업데이트해 주기!

git pull

터미널에서 알맞은 디렉터리로 이동해서 위의 커맨드 실행

cat [업데이트된 파일명]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잘 업데이트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출처: 코드잇 https://www.codeit.kr/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Open Source Software  (0) 2023.04.06
Git 협업하기  (0) 2022.12.30
브랜치 사용하기  (0) 2022.12.30
커밋 다루기 정리 노트  (0) 2022.12.30
Github에서 다른 프로젝트 가져오기  (0) 2022.12.30

+ Recent posts